ARKF vs. 핀테크 ETF, 어디에 투자할까?
ARKF vs. 핀테크 ETF, 어디에 투자할까?
핀테크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한 다양한 ETF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ARK Fintech Innovation ETF(ARKF)는 혁신적인 핀테크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ETF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다른 핀테크 관련 ETF들과 비교했을 때, 어떤 점이 다를까? 오늘은 ARKF의 투자 매력과 리스크, 다른 핀테크 ETF들과의 비교, 그리고 매수/매도 타이밍 판단 기준까지 분석해 보겠다.
1. ARKF vs. 다른 핀테크 ETF 비교
ARKF 외에도 핀테크 산업에 투자할 수 있는 ETF로 Global X FinTech ETF(FINX)와 Amplify Digital Payments ETF(IPAY)가 있다. 각 ETF의 투자 전략, 수익률, 운용 자산(AUM), 2025년 3월 첫 거래일 기준 종가를 비교해 보자.
ETF | 투자 섹터 | 1년 수익률 | AUM | 2025년 3월 3일 종가 | 대표 투자 종목 |
ARKF | 핀테크 혁신 기업 중심 | 12.3% | $3.5B | $34.02 | Coinbase, Block, DraftKings, Robinhood |
FINX | 광범위한 핀테크 투자 | 17.8% | $1.2B | $28.26 | Intuit, Adyen, Square, Coinbase |
IPAY | 디지털 결제 산업 특화 | 3.0% | $0.9B | $53.49 | PayPal, Square, Visa, Mastercard |
투자 전략 차이점
ARKF는 혁신적인 핀테크 기업들에 집중 투자하며, 보다 공격적인 성장성을 추구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
FINX는 핀테크 전반에 걸쳐 안정적인 성과를 내는 기업들에 투자하며,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IPAY는 결제 산업에 특화된 ETF로, 전통적인 금융 네트워크(비자, 마스터카드)와 디지털 결제 기업(PayPal, Square)에 투자한다.
2. ARKF의 주요 투자 기업 분석
Coinbase Global Inc. (COIN) : 10.6%
주요 사업모델: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
2024년 실적: 4분기 매출 $2.3B, 전년 대비 100% 성장
Block Inc. (SQ) : 6.8%
주요 사업모델: 모바일 결제 및 POS 시스템 제공
2024년 실적: 3분기 순이익 $284M, 전년 대비 흑자 전환
DraftKings Inc. (DKNG) : 5.8%
주요 사업모델: 온라인 스포츠 베팅 및 판타지 스포츠 운영
2024년 실적: 4분기 매출 $1.39B, 전년 대비 13.2% 성장
Robinhood Markets Inc. (HOOD) : 4.7%
주요 사업모델: 수수료 없는 주식 및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2024년 실적: 4분기 매출 $1.01B, 전년 대비 115% 성장, 첫 연간 흑자 기록




3. ARKF의 리스크 요인
ARKF는 성장성이 높은 ETF이지만, 몇 가지 리스크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 ARKF는 성장주 성향이 강한 ETF이므로, 시장 변동성이 크다. 특히, 금리 인상이 예상될 경우 성장주들은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 핀테크 산업은 규제 변화에 민감하다. 암호화폐 시장 규제 강화, 온라인 결제 플랫폼의 규제 변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과 같은 요소들은 ARKF의 보유 종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핀테크 기업들은 공격적인 성장을 추구하지만, 수익성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 Robinhood, Coinbase 등은 여전히 수익성 개선이 중요한 과제이며, DraftKings 등은 높은 마케팅 비용으로 인해 순이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4. ARKF 매수/매도 타이밍 판단 기준
매수 타이밍
- 금리 인하 시그널이 나타날 경우 ARKF는 반등 가능성이 높아진다. 성장주 ETF는 금리 하락 시 상승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핀테크 시장 성장 전망이 강할 때 매수를 고려할 수 있다. 규제 완화나 암호화폐 시장의 호황이 맞물릴 경우 ARKF의 상승 가능성이 높아진다.
- 기술적 분석상 주요 지지선에서 반등이 나타날 경우 매수를 고려할 수 있다. 현재 ARKF는 30~32달러 선에서 지지받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매도 타이밍
-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 성장주 ETF는 하락할 가능성이 크므로 일부 차익 실현을 고려할 수 있다.
- 핀테크 규제가 강화될 경우 핀테크 기업들의 실적 악화가 예상될 수 있어 주가 하락 가능성이 커진다.
- 과열된 주가 상승 후 차익 실현을 고려할 수 있다. 단기간 급등한 경우 일부 수익을 실현하고 다시 저점에서 재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다. 뭐든 그렇겠지만 장기간 스노우볼을 굴리며 모아가야 한다.
5. 결론
ARKF는 장기 성장성이 높은 ETF지만, 변동성이 크므로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
핀테크냐 테크핀이냐 순서의 문제일 뿐 핀테크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므로 금리 인하와 핀테크 산업 성장 전망을 고려하면서 적절한 매수 시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투자 & 재테크 (Finance & Investment) > 주식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금리 인상, 대표 은행주 신한지주에 투자하기 (1) | 2021.08.26 |
---|---|
메타버스 테마 증권 투자 지금 해야할까?(메타버스 ETF, 메타버스, 맥스트) (0) | 2021.08.17 |
만 가지 전략의 금융 상품, ETF 투자 전략(한국, 채권, 글로벌, 삼성 증권 ETF) (0) | 2020.06.05 |
이익율 깡패, 미국 주식 투자(AAPL) 애플 주가조회(iPhone, iPad, Mac Pro, AirPod, iTunes) (0) | 2020.05.18 |
잭슨정의 투자일지(미국 주식, 기술주 축소, ETF, 안정주 확대, 포트폴리오) (0) | 2019.12.28 |
댓글